MBC 고전 전원일기 특징(어느날 문득 궁금해졌소)
출처는 ㄴ ㅏ 무 우 ㅣ 키 에요~
------------------
차범석, 김정수 등의 집필을 통해 1980년 10월 21일부터 2002년 12월 29일까지 22년 2개월 동안 총 1088회[3]에 걸쳐서 방영되었다. 줄거리는 농촌마을의 유지인 김회장네 집과 복길네로 대표되는 그 이웃들의 이야기가 옴니버스 식으로 진행되는 내용이다. 초기에는 흑백 화면이었으며, 오프닝에서 젊은 최불암이 지게를 지고 다니거나 마지막에 나레이션을 하기도 했지만 차차 없어졌다. 전원일기의 시작이 농어촌의 훈훈한 정서를 소개하는 다큐성 드라마였기 때문에 나레이션은 필수적이었는데 뒤로 갈수록 농촌 현실에 대한 고발을 주로 했던 탓에 없어지게 되었다.[4] 첫 방송을 시작으로 화요일 오후 시간대에 방영하다가 96년 3월 6일부터는 수요일 저녁 7시 30분으로 바뀌었으며, 그 해 10월 27일부터 종영할 때까지는 일요일 오전에 방송되었다.[5] 반면 촬영은 처음부터 끝까지 매주 월요일마다 했다.
22년간 방송된 전원일기는 1088회를 끝으로 종영했는데, 사유는 소재 고갈. 김혜자는 자신의 책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에서 전원일기 방영이 10년이 지나면서 소재 고갈로 작가가 집필을 거부했으며 본인도 한계를 느끼고 제작진에게 여러 번 하차 의사를 전했다고 한다. 차라리 본인이 죽으면 그 죽음을 통해 새로운 소재가 나올 것이라고 설득할 정도였으니 출연 배우로서 당시 전원일기에 대한 매너리즘이 어느 정도였는지 가늠할 수 있다. 흑백TV 방송을 하던 시절부터 인터넷이 등장한 시대까지 방영한 드라마이며, 방영되던 22년의 시간동안 농촌도 꽤 많은 변화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방영기간 내내 작가가 수없이 바뀌면서 캐릭터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상황은 종영 때까지 계속 되었다.[6][7]
한편, 시간대 변경에서 생긴 시청률 부진도 이유였는데 1996년 10월 27일부터 일요일 오전 11시에 방송되다가 2002년 4월 7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의 신설에 따라 오전 8시 50분으로 옮겼으나, 2000년 10월부터 시작한 SBS 오락 프로그램 도전 1000곡의 아성을 넘지 못한 것도 있었다. 이와 함께, 금동 역으로 나온 임호는 2002년 4월 7일부터 9월 29일까지 <전원일기>와 같은 시간에 방영된 KBS 2TV 일요아침드라마 <언제나 두근두근>[8]에 겹치기 출연을 해 결국 따끔한 눈초리를 받았다. 이렇게 되자 <언제나 두근두근>은 29회 만에 단명하는 수모를 당했고 <전원일기>도 얼마 후 없어졌다. 공교롭게도 1980년 10월 21일에 첫 방영된 1회 제목이 '박수칠 때 떠나라' 였는데 마지막회는 '박수 칠 때 떠나려 해도' 라서 뭔가 오묘한 의미를 자아낸다. 그래도 장수 드라마로서 메리트는 있는지 12월 31일 <토크쇼 임성훈과 함께>에서 종영기념 스페셜 무대를 마련했고, 출연진들은 동년 MBC 연기대상에서 공로상을 받았다. 후속 드라마로 2003년 1월부터 <기쁜소식>이 방영되었으나, 전원일기만큼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방영 시기가 시기인 만큼 현재 기준으로 방송에 부적절한 요소가 많다.[9][10] 게다가 지금 시점으로 보면 성범죄적인 요소도 나온다.[11] 남편의 상습 도박과 구타로 인해 가출한 아내를 아내로서의 도리를 못하는 여자라며 비난하는 에피소드도 있었고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밤새도록 안마시켜서 코피 터뜨리고 혼절케 하는 올가미같은 고부잔혹사 에피소드도 있다. 또한 여자는 일만 한다든가 남자들이 주로 신문을 보고, 딸들은 출가외인이라는 등 가부장적인 소재의 문제점은 해당 드라마 홈페이지의 시청자 게시판을 달구기도 했는데, 1999년 9월 8일자 <한겨레> '최보은의 화면깨기' 칼럼은 물론, 2000년 8월 19일에 자사의 시청자 옴부즈맨 프로 <TV 속의 TV>에서 해당 문제점을 다룬 바 있다. 물론 936회 '퀴즈의 여왕(1999년 11월 28일)'과 937회 '그들만의 선거(1999년 12월 5일)', 961회 '신세대 며느리(2000년 5월 28일)' 등 일부 에피소드에선 여성의 역할을 신장시킨 에피소드들을 내보내 달라진 면을 보여주었으나 이걸로도 부족했다.
농촌 드라마인 만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촬영장을 여러 번 바꿨는데 첫 촬영지는 경기도 양주군(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였고[12] 이어 양평군(단, 읍내는 1998년 이후 종영할 때까지 양서면 양수리에서 계속 촬영)→청원군(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13]→남양주시(조안면 조안리와 진중리, 읍내는 1996년 11월부터 1997년까지 마석에서 촬영)로 옮겨갔다. 작중 배경이 '양촌리'이다보니 김포시 양촌읍과 연관짓는 경우가 은근 있는데 양촌읍은 물론이고 김포에서 촬영된 적은 전혀 없다.[14] 뿐만 아니라 양촌읍에는 양촌리가 없다![15] 아울러 22년 간 이어간 대작답게 대본 작가와 감독이 10여 명이 교체된 진기록도 있다. 가장 유명한 대본작가인 김정수는 2010년에 주말연속극 민들레 가족을 집필했다.
드라마 주제가가 매우 인상적인데 농촌의 풍경을 잘 표현한 느낌이다. 방영 초기에는 당시 MBC 관현악단장 정서봉이 연주/녹음한 것을 썼지만, 해당 원곡의 마스터테이프 및 악보가 유실되어 1990년 당시 악단장인 장익환이 재녹음했다. 1996년에 타임워프를 계기로 약간 편곡이 되었으나 원곡이 거의 변하지 않고 끝까지 쓰였다.[16][17][18] 2000년 MBC 홈페이지 개편 후 동년 4월 29일 방영분부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으로 VOD 서비스를[19] 개시했다가 종영 후 전부 내렸고, 2019년경 이후 전편을 고화질로 리마스터링해서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중이다. 2009년 불교TV에서 처음 재편성된 후 2021년 4월 28일 기준 총 7개 채널[20]에서 방영 중이다.[21]
상당히 오래 방송되다 보니 MBC의 내로라 하는 드라마 PD들이 기획자나 조연출로 등장하였다. 기획에 이연헌, 유길촌[22], 고석만, 이병훈, 황인뢰, 권이상[23], 조연출에 김종학, 최용원,[24] 안판석, 김윤철, 이장수 같은 인물들이 거쳐갔다. 2021년 6월 18일, MBC <다큐 플렉스>를 통해 출연 당시의 뒷얘기를 다룬 '전원일기 2021'을 방영했다. 총 4부작으로 기획되어 7월 9일까지 방영했다. 김회장 부부 역을 맡은 최불암 - 김혜자부터 순길이 역을 맡은 류덕환 배우에 이르기까지 전원일기를 함께 했던 출연진 및 관계자들이 거의 모두 출연했다. 사망한 배우들은 유족[25]들이 해당 배우들에 대해 언급하였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유명 건물들 (그 지역 랜드마크?) (0) | 2022.10.21 |
---|---|
SBS(서울방송)의 역사... (0) | 2022.10.20 |
배의 역사 (선박의 발전과정) (0) | 2022.10.13 |
옛날 옛적에 2006년 뉴~우스 (구글, 유튜브 16억5천만달러에 인수) (0) | 2022.10.12 |
미국의 요리의 특징과 종류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