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百科, IPA: [ɥikçibɛ̝k̚k͈wa̠], [ykçibɛ̝k̚k͈wa̠] ( 듣기)) 또는 위키피디아(영어: Wikipedia, IPA: [ˌwɪkɪˈpiːdɪə] ( 듣기))는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다언어판 인터넷 백과사전이다.[2] 2001년 1월 15일 지미 웨일스와 래리 생어가 창립하였으며,[3] 대표적인 집단 지성의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4]
위키백과는 자유 저작물을 보유하고 상업적인 광고가 없으며 주로 기부금을 통해 지원을 받는 비영리 단체인 위키미디어 재단에 의해 소유되고 지원을 받고 있다.[5][6][7][8] 2021년 기준으로 영어판 약 600만여 개, 한국어판 612,517개를 비롯하여 300여 언어판을 합하면 전체 위키백과의 일반 문서(넘겨주기와 막다른 문서 제외) 수는 5,500만 개 이상이며,[9] 한 달 순수 방문자 수는 약 17억명이다.[10][11] 위키백과의 저작권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와 GNU 자유 문서(GFDL)의 2중 라이선스를 따른다. 두 라이선스 모두 자유 콘텐츠를 위한 것으로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역사
위키백과 설립자 지미 웨일스의 모습.
위키백과 공동 창립자 래리 생어의 모습.
이 부분의 본문은 위키백과의 역사입니다.
누피디아
이 부분의 본문은 누피디아입니다.
위키백과 이전에도 온라인 백과사전을 운영하려는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실패하였다.[12] 위키백과 영어판은 전문가들이 작성했던 백과사전인 누피디아(지금은 존재하지 않음)에서 비롯하였다.[3] 누피디아는 웹 포털 회사인 보미스가 2000년 3월 9일에 개시하였다. 보미스의 CEO였던 지미 웨일스와 편집장 래리 생어는 누피디아의 글들을 오픈 콘텐츠로 제시하기로 하였고 리처드 스톨먼이 주도한 GNU 자유 문서 라이선스로 제공하였다.[13] 누피디아는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고, 지미 웨일스와 래리 생어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백과사전으로[14] 위키백과를 개설하였다.[15] 생어는 모두의 백과사전이라는 목표를 분명히 하기 위해 이름에 위키를 넣었다.[16] 2001년 1월 10일, 생어는 누피디어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누피디아 프로젝트를 보완하기 위해 위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17]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흥민 정보 (생애, 학력, 본관) (0) | 2022.11.15 |
---|---|
청와대의 역사 (0) | 2022.11.10 |
브랜드(회사)네이밍, 상호명, 작명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해드립니다(회사이름짓기) (0) | 2022.11.07 |
특허청 설립일 1977년 3월 12일 (별것이 다 궁금한 남자) (0) | 2022.11.01 |
사진을 만화같은 캐릭터로 바꿔주는 앱(app) (0) | 2022.10.28 |